활로4징 교정수술 환자의 우심실 변형을 반영하는 심장초음파 인자

활로4징 교정수술 환자의 우심실 변형을 반영하는 심장초음파 인자

Echocardiographic variables reflecting RV geometric changes in patients with repaired TOF

(구연):
Release Date : 2017. 10. 27(금)
Eun Jung Shin, Jeong Jin Yu, Min Kyung Kang, Hyun Ok Jun, Yeong Hee Heo, Jae Suk Baek, Young-Hwue Kim , Jae-Kon Ko
Ulsan University Asan Medical Center Departement of pediatrics1
신은정, 유정진, 강민경, 전현옥, 허영희, 백재숙, 김영휘 , 고재곤
울산의대 서울아산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1

Abstract

배경: 활로4징(rTOF) 교정 후 의미 있는 폐동맥판 폐쇄부전( PR)을 동반한 환자들의 추적 관찰에서, 폐동맥판 치환술( PVR) 필요의 최종 판정은 현재로서는 자기공명영상(MRI)를 통한 우심실 크기 측정에 의존하고 있다. 최근에 들어 몇몇 연구에서는 심근 속도/변형 기능검사들이 초기의 심장 기능이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. 본 연구는 심근 속도/변형 기능 등 심장초음파 검사항목들이 MRI 혹은 전산화단층촬영(CT)로 측정된 우심실의 부피 및 박출율(EF)을 반영하는 정도를 평가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. 방법: 2006년 1월에서 2016년 12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rTOF 환자들 중 MRI 혹은 CT를 통해 우심실 크기 측정이 이루어 졌던 환자(93명)에서 MRI/CT 시행 일자 6개월 이내 심근변형 분석이 가능한 심초음파 영상이 저장된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. MRI 는 17명, CT 는 12명에서 이용되었다. 결과: 심초음파 심첨 4방도 상 우심실의 이완기말 면적(RVEDA)과 수축기말 면적(RVESA)이 MRI 또는 CT상 우심실의 이완기말 부피(RVEDV) (RVEDA: r 0.596, p 0.001; RVESA: r 0.563, p 0.001) 및 수축기말 부피(RVESV) (RVEDA: r 0.583, p 0.001; RVESA: r 0.553, p 0.002) 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. 심초음파 단축 상 우심실출구의 이완기 지름(RVOTd)과 수축기 지름(RVOTs)도 MRI 또는 CT의 RVEDV (RVOTd: r 0.595, p 0.001; RVOTs: r 0.587, p 0.001) 및 RVESV (RVOTd: r 0.480, p 0.008; RVOTs: r 0.536, p 0.003)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. 다른 심초음파 상 조직도플러영상이나 변형 기능 검사 항목들과 MRI 또는 CT의 항목들 간의 의미있는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(p>0.05). 결론: 우심실 용적을 가장 잘 반영하는 심초음파 검사는 심첨 4방도에서 측정된 우심실 면적이었다. 심근 변형 분석 결과들은 우심실 용적/박출율 변화를 반영하는 점에서는 의미가 없었다.

Keywords: TOF repair, PVR,